손세근 토토사이트안전상생재단 명예총장
손세근 토토사이트안전상생재단 명예총장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과 같은 유형의 책이 베스트셀러를 차지했던 때가 있었다. 그 당시에는 ‘성공’에 대한 인식에 보편적인 공통분모가 있었다고 여겨진다.
‘트렌드코리아2009’에서 언급된 자기계발과 관련된 트렌드는 ‘스펙을 높여라’였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취업 시장은 무한경쟁의 전쟁터가 되었고 이로 인해 스펙 쌓기는 필수불가결한 요건이 되어버렸다. 즉, 학벌(학력), 학점, 영어 능력의 기본 3대 스펙에 자격증, 어학연수가 추가된 5대 스펙이 요구되는 트렌드가 되었고, 2012년경에는 여기에 봉사활동, 인턴, 수상경력의 3가지가 추가된 8대 스펙까지 언급되기 이르렀다.

성공보다 성장을 추구하는 ‘업글인간’
취업환경이 너무 스펙 위주로 과열되자 2014년 12월에 국회 미래인재육성포럼이 주최한 ‘스펙 초월 채용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를 계기로 하여 ‘역량 중심 채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자기계발의 목표도 ‘성공’에서 ‘성장’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해 왔다. 이에 따라 ‘트렌드코리아2020’에서는 ‘업글인간’이 새로운 자기계발의 키워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당시 중요한 트렌드 키워드였던 ‘미코노미’(자신을 중요시하는 소비경제)와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의 의미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업글인간 트렌드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보편화된 ‘워라밸’에 대한 관심과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인생 다모작과 경력관리의 패러다임이 달라져 나타난 결과이다.

업글인간에서 추구하는 영역은 크게 나누어 몸, 취미, 지식의 3가지 업그레이드이다.
2020년 4월에 tvN에서 방영된 유 퀴즈 온더 블럭 ‘업글인간 특집편’에서는 대한민국 패션의 전설이며 유튜버로 활약 중인 ‘밀라논나’ 장명숙씨의 스토리가 매우 인상적이다.
“나는 매일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 설렌다. 내 꿈에 유튜버는 없었다. 댓글을 보면서 이분들에게 좀 더 좋은 내용을 들려줘야겠다는 책임감도 생겼다. 나는 결혼이 내 계획에 없었다. 근데 어른들 말에 따라 결혼을 했다. 남편이 애 둘을 낳자고 해서 낳았다. 그러고 나니까 내가 없더라. 인간 장명숙으로 태어나서 나로서 살고 싶었다”

한편, 2021년 4~6월에 tvN에서 8부작으로 방영된 예능프로 ‘업글인간’에서는 빙속여제 이상화가 피겨스케이팅에 도전하는 스토리 등 좀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셀프불편러들의 불편함 극복기를 다루어 인기를 끌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게스트뿐만 아니라 예능력 업그레이드에 도전하는 배우 이민정, 연령별 대표 업글인간으로 김종민(40대 대표), 딘딘(30대 대표), 승희(20대 대표)를 출연진에 포함시켜 다채로움을 더했다. 

나다운 성공의 방법론, ‘원포인트업’
‘트렌드코리아2025’에서는 도달 가능한 한 가지 목표를 세워 실천함으로써 나다움을 잃지 않는 자기계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원포인트업’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 사태 이후 큰 리스크를 부담하기보다 작은 개선에 만족하는 경향인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 스펙보다는 역량과 직무 중심으로 전환한 기업의 현실적 채용방식과 그 맥을 같이하는 트렌드라고 할 수 있다.

요즘 직장인들은 ‘커리어 패스’보다 ‘커리어 컬렉팅’이 필요하다고 보며,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하는 일’에 대한 고민이 크다고 한다. 자신을 어떻게 성장시켜 나갈 것인가 하는 과제와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일자리 패러다임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업글인간’의 개념은 또 다시 ‘원포인트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원포인트업에서 지향하는 3가지 요소는 자기 지향성, 도달 가능성, 기록과 공유이다.

1) 자기 지향성
나를 알고 나다운 성장의 목표를 모색한다. 기업에서도 조직문화에 맞는 인재를 뽑는 ‘컬처핏’이 대세다. 직장인들도 커리어핏 진단, 커리어 코칭과 멘토링 등에 관심과 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2) 도달 가능성
작은 성취를 꾸준히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효율성과 현실성을 고려한 작은 목표와 꾸준한 실천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나만의 루틴’은 큰 도움이 된다.
‘남에게 보여주려고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와 같은 류의 책들이 최근 인기를 끌고, 하루 3초 운동법(자신이 줄 수 있는 최대한의 힘으로 아령을 하루 한 번만 들어도 근육이 강화됨) 등이 1분1초가 바쁜 현대사회에서 도달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사례들이다.

3) 기록과 공유
이는 남에게 자랑하거나 인정받기 위함이 아니라 주변의 응원과 격려를 통해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이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고, 인디고 디자인 문구의 ‘자문자답 질문일기’나 요즘 핫한 유튜브 채널 ‘요즘 것들의 사생활’이 나다운 삶의 가능성과 기록을 공유하는 대표적 사례이다.

손세근 토토사이트안전상생재단 명예총장은 ‘트렌드 변화를 주시하며 활기찬 삶을 영위해 가는 베이비부머’를 뜻하는 ‘트렌드부머’란 퍼스널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CJ제일제당(주)에서 CCO(고객만족 총괄책임자) 등의 임원을 역임했으며, 트렌드 변화 연구와 청년 멘토링 등에서 꾸준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개인 블로그: blog.naver.com/steve0831)

관련기사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저작권자 © 토토사이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